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중다기억체계와 기억향상법

by 아잉꾹 2024. 4. 9.

중다기억체계

 

중다기억체계는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정보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지 구조입니다. 이 과정은 정보의 반복, 정리, 의미 부여를 통해 기억의 저장과 검색을 용이하게 합니다. 여러 메모리 시스템은 정보의 처리와 저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의미적 기억과 삽화적 기억

Tulving은 의미적 기억과 삽화적 기억이라는 두 가지 기억체계를 구분하였습니다. 의미적 기억은 정보를 학습했을 때의 맥락과 관련이 있는 일반적 지식을 말하고, 삽화적 기억은 개인적인 경험이 일어난 연대기적 기억을 말합니다. 의미적 기억은 '한글날은 10월 9일이다'. '고래는 포유류 동물이다'. '7x7=49'와 같은 일반적 사실에 대한 기억이고, 삽화적 기억이란 초등학교 발표회 때 어떤 노래를 했으며, 작년 여름에는 울릉도에 갔었으며,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콘서트에 갔다는 것과 같은 개인적 사실에 대한 기억입니다.

2. 절차적 기억과 서술적 기억

Winograd는 기억을 정차적 기억과 서술적 기억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절차적 기억은 자전거 타기, 타자, 운전, 운동화 끈 매기와 같은 행위나 기술에 대한 기억을 말하며, 서술적 기억은 단어나 이름, 얼굴, 개념, 사건들을 회상해 내는 것과 같은 사실적 정보에 대한 기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운전할 때 손으로 기어를 조작하고 발로 가속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과 같은 지각적 운동기술은 절차적 기억이고 교통신호와 교통표지판을 보고 그 의미를 기억해 내는 것은 서술적 기억입니다.

3. 암묵적 기억과 명시적 기억

암묵적 기억이란 의도적으로 기억하려고 하지 않은 것을 기억하는 것인 반면, 명시적 기억은 이전의 경험들을 의도적으로 회상해 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의도적으로 기억하려고 하지 않았던 것들을 기억하고 있는 수가 많습니다. 어제 강의시간에 교수님이 입고 왔던 양복 색깔이라든지, 친구와 새로 생긴 학교 앞 식당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갑자기 고교 동창생과 여행 갔던 일이 떠오르는 것처럼 우연적이고 의도하지 않은 기억이 암묵적 기억입니다.

Roediger나 Tulving과 Schachter의 연구에 의하면 명시적 기억은 의식적이고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억이고 암묵적 기억은 무의식적이고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억이라고 합니다. 또한 명시적 기억이 기억상실증, 나이 알코올과 같은 약물의 투여, 파지간격의 길이, 간섭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 데 반해 암묵적 기억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중다기억체계와 기억향상법
중다기억체게와 기억향상법

기억향상법

기억향상법에는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부호화 및 취득하기 위한 기술 및 전략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방법에는 정보를 묶음으로 나누기, 시각적 이미지 활용하기 및 복잡한 정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연관 짓는 기술 등이 있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내용을 복습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것도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1. SQ3R

Robinson은 SQ3R이라는 공부방법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Survey(개관) 어떤 책을 공부한다고 할 때 우선 전체 목차를 보고 책의 주제와 각 장과 절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쭉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각 장을 더 작은 단위로 쪼개어 공부단위로 만든다.

 Question(질문) 공부할 내용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 만들어본다. 예를 들어, 망각이란 무엇이며 왜 일어나는 것일까? 소멸로 인한 망각과 간섭으로 인한 망각은 어떻게 다를까? 등의 질문을 만든다.

 Read(읽기) 미리 만들어두었던 질문을 염두에 두고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본다.

 Recite(암송) 책을 읽으면서 알아낸 질문의 답을 책을 보지 않고 마음속으로 외워본다.

 Review(복습) 읽은 것과 실제 생활 속의 예를 관련지어 보면서 다시 한번 복습한다.

이 SQ3R 외에도 기억능력을 강화시키는 전략들이 많은데 그런 전략들을 기억술이라고 부릅니다. 

2. 기억술

(1) 적절한 시연과 깊은 처리

영어 속담에 "Practice makes perfect"라는 말이 있듯이 계속된 시연을 통해 정보의 파지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속된 시연은 기억해야 할 내용의 이해를 향상할 수도 있습니다.

Bromage와 Mayer는 반복의 효과를 연구했는데, 학생들에게 테이프에 녹음된 사진촬영술 강의를 들려주었습니다. 강의 내용에 포함된 정보는 중요성에 따라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들려주었습니다. 그 결과, 반복해서 들을수록 중요성 수준에 관계없이 정보의 회상이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반복의 효과가 계속해서 들을수록 내용에 대한 친숙성이 증가하고 내용에 대한 이해가 촉진됩니다.

처리 수준에 대한 연굴들을 보면 얼마나 자주 기억재료를 읽느냐 보다는 그 처리의 깊이가 더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기계적인 반복에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읽고 있는 내용의 의미를 분석하고 거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더 유익합니다. 특히 읽고 있는 책 내용을 자신의 생활이나 경험과 관련지어봄으로써 그 내용을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유용합니다.

(2) 분산연습

시험공부를 하는데 9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해 보세요. 9시간 동안 계속 공부를 해야 할까요? 아니면 하루에 3시간씩 3일을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

연구에 의하면 집중연습보다 분산연습을 한 후에 파지량이 더 큰 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연습시간 간의 간격이 긴 경우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분산연습의 효과를 감안한다면 주입식 공부나 시험을 앞둔 벼락치기식 공부를 잘못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간섭의 최소화

간섭이 망각의 주요 원인임을 지적했었는데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한 학기에 여러 과목을 수강하는 경우 한 과목의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다른 과목의 내요을 파지 하는 것을 간섭합니다. 따라서 특정한 과목들을 같은 날 공부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날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Thorndike와 Hayes-Roth는 유사한 내용을 서로 다른 날 학습할 때 간섭이 적게 일어남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시험 전날에는 다음날 치를 과목만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전이가 용이한 처리

한 연구에서 동일한 정보에 대한 사실지향적 처리와 문제지향적 처리를 비교하였더니 문제해결을 필요로 하는 시험을 치르면 문제지향적 처리가 훨씬 효과적임을 발견했습니다. 시험에 나올 문제유형과 같은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5) 언어적 기억술

추상적인 기억재료를 의미적으로 만들어 기억하려는 많은 기억술들이 있습니다.

두문자어

'빨주노초파남보' 이것이 무엇일까요? 아마 여러분들 대부분이 무지개 색깔의 순서를 말하는 것임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단어의 첫 글자를 이용해서 새로운 하나의 단어를 만드는 것을 두문자어라고 합니다. 이것은 또 앞서 배운 군 단위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이야기 만들기

단어목록을 기억하는 또 다른 유요한 방법은 기억해야 할 단어를 적절한 순서대로 포함시켜 이야기를 만드는 것입니다. 

운율 맞추기

또 다른 언어적 기억술 중의 하나가 운율 맞추기입니다. 운율을 깨닫고 연습하면 각 단어가 별 노력 없이 해당 숫자에 의해 쉽게 기억납니다.

(6) 시각적 심상

기억은 시각적 심상을 이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연결법

연결법이란 기억해야 할 항목들을 함께 연결해서 새로운 하나의 심상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쇼핑할 물건들을 기억해야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 시사잡지, 면도크림, 필름, 볼펜 등을 사려고 한다면 볼펜 한 자루를 손에 들고 면도하는 유명 탤런트를 활영하고 있는 모습을 표지로 삼은 잡지를 마음속에 그려봄으로써 새로운 심상을 형성하고 그 심상을 기억합니다.

장소법

장소법이란 기억해야 할 항목들의 심상을 특정한 위치와 연합시켜 놓은 친숙한 길을 따라 걸어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게에 여러 가지 물건을 사러 가는 주부의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 자신의 집이나 집 근처의 특정한 위치를 기억하고 그 장소에 기억해야 할 물건들을 위치시켜 독특하고 생생한 심상을 형성합니다. 이제 쇼핑할 물건들을 기억해내려고 할 때 그 주부는 자신이 부엌에서 주차장까지 가는 길을 떠올리면 됩니다. 즉 설거지하면서 싱크대에 식용유를 쏟아붓는 것, 외출복을 입기 위해서 옷장을 열었더니 바나나 한 다발이 걸려 있는 것, 현관문을 보니 토마노가 터져서 묻어 있는 것, 집 앞 차도에 오이가 여러 개 떨어져 흩어져 있는 것, 주차장에 서 있는 차바퀴가 전부 구두약통으로 되어 있는 것 등의 심상을 친숙한 길을 따라 만들어 놓습니다.

핵심단어법

심상이 사람 이름과 얼굴, 또는 모국어와 외국어 단어와 같은 항목 간의 연합을 형성하는 데 유용하기는 하지만 추상적인 단어를 나타내주는 심상을 만들어내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문제를 피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핵심단어법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핵심단어법이란 추상적 단어를 구체적인 단어와 연합시키고 구체적 단어를 나타내주는 심상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외국어 단어학습에 유용합니다.

(7) 정보의 조직화

조직화는 놀라운 기억능력을 보여주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습니다. Ericsson과 Polson은 메모도 하지 않고 200가지의 복잡한 식사주문을 기억할 수 있는 J. C.로 알려진 웨이터를 연구하였습니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의 피험자들이 식사주문을 주문하는 순서대로 기억하려고 하는 반면, J. C. 는 식사주문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조직화함을 발견했습니다. 이처럼 정보가 잘 조직화되어 있을 때 기억하기가 더 쉽습니다.

 

이번에는 중다기억체계와 기억향상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 소개한 내용이 여러분의 호기심을 자극했길 바라며, 계속해서 탐구하는 마음을 가지고 다음 만남을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