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고 : 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 활동 과정

by 아잉꾹 2024. 4. 14.

사고는 마음이 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인지, 판단, 기억, 추론 등이 포함되며 언어적 사고와 비언어적 사고로 구분됩니다. 생각은 개인의 경험, 지식,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고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념과 심상입니다. 꽃을 생각하면 아마도 머릿속에 꽃이 피어나는 정신적 이미지, 꽃잎의 색깔, 주변에 떠다니는 꽃의 향기 등도 떠올릴 것입니다. 그러나 아름답고 생생하고 자연스럽고 색이 풍부한 다양한 개념이나 범주를 사용하여 꽃을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1. 개념

Smith는 개념이란 유목에 대한 정신적 표상이라고 정의하고 개념의 기능을 세 가지로 요약하였습니다.

첫째는 인지적 절약의 증진입니다.

세상을 유목들로 분할하면 지각하고, 학습하고, 추리하고, 의사소통 해야 하는 정보량이 상당히 줄어듭니다. 따라서 만일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각 개별 사물마다 고유의 이름을 붙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마다 이름이 다르듯이 개개 탁자마다 각기 다른 단어로 표시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지금과 같은 의사소통은 거의 불가능할 것입니다. 

개념의 두 번째 기능은 주어진 정보 이상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처음으로 늑대와 숲 속에서 마주친 사람은 늑대의 겉모습을 보고 늑대라는 것을 알아보게 됩니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늑대가 물어뜯기도 해서 심한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지식을 생각해 내는 것입니다. 개념은 지각정보와 비지각 정보를 이용하여 도망갈 것을 결정합니다. 

개념의 세 번째 주요 기능을 개념들이 조합되어 복합적인 개념이나 사고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뜻한'. '난로', '대단히' 등은 모두 단순개념이며, '따뜻한 난로'는 복합개념이고, '이 난로는 대단히 따뜻하다'라는 문장은 하나의 완전한 사고를 나타냅니다.

하나의 개념을 획득한다는 것은 그 개념에 속하는 사례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성질들을 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그 개념에 속하는 모든 사례들은 반드시 그런 속성들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러한 속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은 그 개념의 사례여야 합니다. 신부라는 개념은 여자, 성인, 미혼이라는 세 가지의 결정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신부라면 세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런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 신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입장을 개념에 대한 고전적 견해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한 범주에 속한다고 모두 같은 것은 아닙니다. 참새, 제비, 오리, 독수리, 펭귄, 타조는 모두 새의 범주에 속하고, 이들을 통틀어 새라고 부르지만 이들이 심리적으로 모두 같은 것은 아닙니다.

이중 참새나 제비는 좀 더 새 같은 새라고 생각하지만 오리나 타조는 전형적인 새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즉, 어떤 항목은 범주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다른 항목은 주변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 개념의 범주에서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어서 그 개념을 가장 잘 대표해 주는 항목을 원형이라고 부릅니다.

하나의 개념은 이 원형을 중심으로 개념을 대표하는 정도인 전형성에 따라 분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견해를 뒷받침해 주는 증거는 범주화 과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 항목이 어떤 개념의 사례인지 아닌지를 가능한 한 빨리 결정하라고 요구하면 덜 전형적인 것보다는 전형적인 사례에 대하여 더 빨리 반응합니다. 한 개념에 속한 모든 사례를 회상하게 하면, 전형적인 사례들을 비전형적인 것보다 빨리 인출하며, 아동들도 전형적인 것들을 비전형적인 것들보다 먼저 배웁니다.

 

고전적 견해의 가장 큰 단점은 대부분의 일상개념들의 정의를 밝혀내지 못했다는 데 있습니다. 새, 호랑이, 과일, 자동차, 가구는 모두 일상개념이며, 이 모든 예에서 모든 사람들이 수용하는 고정된 정의는 없었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사람들이 어떤 사례가 어떤 개념에서 얼마나 전형적인가 또는 대표적인가에 따라 그 개념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사고: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 활동 과정
사고: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 활동 과정

 

2. 심상

심상이란 감각경험에 대한 정신적 표상이며 사물을 생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잠시 이순신 장군에 대해서 생각해 보세요. 이순신 장군에 대한 사고에는 임진왜란, 수군 장수, 백의종군, 난중일기와 같은 단어뿐만 아니라 갑옷을 입은 그의 용맹스러운 모습과 거북선의 모양과 같은 정신적 심상도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지금 살고 있는 집의 문이 모두 몇 개인가?"라는 질문을 받으면 사람들은 먼저 집을 머리에 떠올리고 나서, 상상 속의 집을 돌아다니며 문의 개수를 헤아릴 것입니다. 

더욱이 연구자들은 인간이 사고를 돕기 위하여 사물을 시각화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상을 조작하기조차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우리가 심상에 대해서 가한 정신적 조작들이 실제의 시각대상에 대해서 조작하는 것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정신적 회전입니다. Shepard와 Metzler는 두 개의 그림을 동시에 제시하고 두 그림이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인지를 가능한 한 빨리 결정하도록 하였습니다. 각 쌍의 그림은 회전된 정도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 두 물체 간의 회전정도가 클수록 반응시간은 더 길었습니다. 피험자들은 이 과제를 수행하기 우해 우선 첫 번째 그림의 심상을 형성하고, 두 번째 그림과 같은 위치로 첫 번째 그림을 머릿속에서 호전시킨 후 두 그림을 비교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피험자들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일정한 속도로 심상을 형성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심상과 지각이 유사한 또 다른 예는 어떤 대상이나 배열을 탐색하는 일입니다. Kosslyn, Ball 및 Reiser의 실험에서 피험자들은 먼저 일곱 개의 장소가 표시된 섬 지도를 살펴보았습니다. 피험자들은 그 섬에 대한 심상을 형성하고, 특정 위치에서 출발해서 지정된 위치를 찾아가게 되면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습니다. 실험결과 출발점과 목표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반응하는 데 더 오래 걸렸습니다. 이는 피험자들이 마치 지도상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눈을 이동시키는 것처럼 지도심상을 주사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심상은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사물에 대하여 사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말로 사고하는 일이 드물었습니다. 오히려 수학공식으로 표현해야 하는 복잡한 형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주로 시각화에 의존하였습니다. 벤젠의 분자구조를 밝히기 위해 연구하던 Stradonitz는 어느 날 밤에 꿈틀거리는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면서 하나의 폐쇄된 고리 속으로 꼬여 들어가는 꿈을 꾸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계속 연구한 결과 벤젠의 구조가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사고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개념과 심상에 대해 포스팅 했습니다. 이 심리학적 지식이 여러분이 자신고 더 깊은 대화를 나누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